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쓴 비극으로, 로마 장군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와 고트족 여왕 타모라 사이의 복수극을 그린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타이터스, 타모라, 타이터스의 딸 라비니아 등이 있으며, 잔혹하고 폭력적인 묘사로 인해 셰익스피어 작품 중 가장 논란이 많은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작품은 로마 황제의 죽음 이후 권력 다툼과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복수, 살인, 강간 등의 비극적인 사건들을 다루며, 언어적 모티프와 주제를 통해 폭력의 의미를 탐구한다. 17세기부터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으며, 연극, 영화, TV, 라디오 등 다양한 매체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 - 타이투스 (영화)
줄리 테이머 감독의 영화 타이투스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를 각색하여 로마 장군 타이터스 안드로니쿠스와 고트족 여왕 타모라의 복수극을 폭력과 복수의 순환으로 그리며, 앤서니 홉킨스, 제시카 랭, 앨런 커밍 등이 출연하고 고대 로마와 현대적 요소가 혼합된 시대착오적인 설정과 강렬한 비주얼이 특징이다.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itus Andronicus |
국가 | 영국 |
언어 | 영어 |
장르 | 복수 비극 피카레스크 |
배경 | 고대 로마 |
발표 연도 | 1593년경 |
초연 | 1594년 1월 24일 |
창작 정보 | |
작가 | 윌리엄 셰익스피어 |
출판 | 1594년 (쿼토판) 1623년 (퍼스트 폴리오) |
등장인물 | |
주요 등장 인물 | 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 로마 장군 태모라: 고트족 여왕이자, 새터니너스의 아내 새터니너스: 로마 황제 베스파시아누스: 타이투스의 형제 마커스 앤드로니커스: 타이투스의 형제이자, 로마의 호민관 루시어스: 타이투스의 아들 퀸투스, 마티어스, 무티어스, 마커스: 타이투스의 아들들 러비니어: 타이투스의 딸 에어런: 태모라의 정부 (情夫) 드미트리어스, 카이런: 태모라의 아들들 |
영화 | |
영화 제목 | 타이터스 |
개봉 연도 | 1999년 |
2. 주요 등장인물
- 타이터스 안드로니커스: 로마의 유명한 장군이자 귀족이다. 고트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복수의 희생양이 된다.
- 마르쿠스 안드로니쿠스: 타이터스의 형제이자 로마 시민의 호민관이다.
- 루시우스: 타이터스의 장남이다.
- 퀸투스: 타이터스의 아들이다.
- 마르티우스: 타이터스의 아들이다.
- 무티우스: 타이터스의 아들이다.
- 어린 루시우스: 루시우스의 아들이자 타이터스의 손자이다.
- 라비니아: 타이터스의 딸이다.
- 푸블리우스: 마르쿠스의 아들이다.
- 사투르니누스: 고(故) 로마 황제의 아들로, 이후 황제로 선포된다.
- 바시아누스: 사투르니누스의 형제이자 라비니아를 사랑하는 인물이다.
- 셈프로니우스, 가이우스, 발렌타인: 타이터스의 친족이다.
- 에밀리우스: 로마 귀족이다.
- 타모라: 고트족의 여왕이자 이후 로마의 황후이다.
- 데메트리우스: 타모라의 아들이다.
- 카이론: 타모라의 아들이다.
- 알라르부스: 타모라의 아들 (대사 없음)이다.
- 아론: 무어인으로, 타모라와 연애 관계에 있다.[3]
- 유모: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광대: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사자: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로마의 대장: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첫 번째 고트족: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두 번째 고트족: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원로원 의원, 호민관, 군인, 평민, 고트족 등: 기타 등장인물들이다.
3. 줄거리
로마 제국의 장군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는 고트족과의 오랜 전쟁에서 승리하고 개선한다. 타이터스에 의해 아들 중 한 명이 제물로 바쳐진 고트족 여왕 타모라는 새로운 로마 황제 사투르니누스에게 접근하여 황후가 되어 앤드러니커스 가문에 복수를 시작한다.
타모라와 그녀의 연인 무어인 에어런의 계략으로 타이터스의 딸 라비니아는 타모라의 아들들에게 남편을 살해당하고 강간당한 뒤, 혀와 양손이 잘린다. 타이터스의 두 아들은 누명을 쓰고 체포된다. 타이터스는 팔 하나를 잘라 황제에게 바치며 석방을 청하지만, 아들들은 사형당하고 그들을 구하려던 장남 루시우스는 로마에서 추방된다.
모든 것이 타모라 일당의 소행임을 알게 된 타이터스는 루시우스에게 고트족과 결탁하여 로마를 공격하게 하고, 타모라의 아들 둘을 잡아 죽인다. 에어런은 타모라가 낳은 아이의 아버지가 자신이기에, 발각되기 전에 갓난아기를 데리고 도망친다.
로마와 고트족의 강화 회의에서 사투르니누스의 조언에 따라 강간을 당했다는 이유로 타이터스는 라비니아를 교살하고, 타모라에게는 아들들의 인육 파이를 먹인 후 찔러 죽인다. 타이터스는 사투르니누스에게, 사투르니누스는 루시우스에게 살해당한다. 새 로마 황제로 추대된 루시우스는 고트족에게 붙잡힌 에어런을 생매장형에 처한다.
3. 1. 복수의 시작
로마 황제가 죽은 직후, 그의 두 아들 사투르니누스와 바시아누스는 누가 그를 계승할 것인지에 대해 다툰다. 그들의 갈등은 폭력으로 번질 듯했지만, 호민관 마르쿠스 안드로니쿠스가 새로운 황제에 대한 백성의 선택은 형 티투스이며, 그는 고트족과의 승리한 10년간의 원정에서 곧 로마로 돌아올 것이라고 발표한다. 티투스는 열렬한 로마 개선식 속에서 도착하며, 고트족 여왕 타모라, 그녀의 세 아들 알라부스, 키론, 데메트리우스, 그리고 그녀의 은밀한 연인 무어인 아론을 포로로 데리고 온다. 타모라의 필사적인 간청에도 불구하고, 티투스는 전쟁 중 자신의 아들 21명의 죽음에 대한 복수로 그녀의 맏아들 알라부스를 인신 공양한다. 비통해진 타모라와 그녀의 두 생존 아들은 티투스와 그의 가족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한다.
3. 2. 타모라의 계략
로마 제국의 장군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는 오랜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온다. 타이터스는 황제 자리를 거절하고 사투르니누스를 지지한다. 사투르니누스는 타이터스의 딸 라비니아와 결혼하려 하지만, 라비니아는 이미 바시아누스와 약혼한 상태였다. 타이터스의 아들들은 바시아누스를 지지하고, 이 과정에서 타이터스는 자신의 아들 무티우스를 죽이게 된다.사투르니누스는 고트족 여왕 타모라와 결혼하고, 타모라는 사투르니누스에게 바시아누스와 앤드러니커스 가문을 사면하라고 조언한다. 타모라의 연인인 무어인 아론은 데메트리우스와 카이론에게 바시아누스를 죽이고 라비니아를 강간하라고 설득한다. 그들은 바시아누스를 죽이고 라비니아를 강간한 후, 혀와 손을 잘라 증거를 없애려 한다.
아론은 타이터스의 아들 마르티우스와 퀸투스가 바시아누스를 살해했다는 위조 편지를 써서 누명을 씌운다. 사투르니누스는 마르티우스와 퀸투스에게 사형을 선고한다.
3. 3. 타이터스의 복수
타이터스의 아들 마르쿠스는 훼손된 라비니아를 발견하고 아버지 타이터스에게 데려간다. 무어인 아론은 타이터스에게 황제 사투르니누스가 타이터스, 마르쿠스, 루시우스 중 한 명의 손을 보내면 마르티우스와 퀸투스를 살려주겠다고 거짓말한다.[1] 타이터스는 자신의 왼손을 잘라 보내지만, 마르티우스와 퀸투스의 잘린 머리와 자신의 손이 돌아온다.[1] 타이터스는 아들 루시우스에게 로마를 떠나 고트족에게서 군사를 일으키라고 명령한다.[1] 라비니아는 막대기를 사용하여 공격자들의 이름을 쓴다.[1] 한편, 아론은 타모라가 자신의 아이를 낳았다는 소식을 듣고 아이와 함께 도망친다.[1] 이후 로마로 진군하는 루시우스에게 생포된 아론은 아이를 살리기 위해 복수의 전말을 밝힌다.[1]3. 4. 광기와 잔혹한 결말
로마 제국의 장군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는 오랜 고트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온다. 타이터스에 의해 아들 중 한 명이 제물로 바쳐진 고트족 여왕 타모라는 새로운 로마 황제 사투르니누스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고, 앤드러니커스 가문에 복수할 기회를 노린다.타모라와 그녀의 연인인 무어인 에런의 계략으로 타이터스의 딸 라비니아는 타모라의 아들들에게 남편을 살해당하고 강간당하며, 입을 막기 위해 혀와 양손까지 잘린다. 타이터스의 두 아들은 누명을 쓰고 체포되고, 타이터스는 팔 하나를 바쳐 석방을 청하지만 아들들은 처형당한다. 타이터스를 구하려던 장남 루시우스는 로마에서 추방된다.
모든 것이 타모라 일당의 소행임을 알게 된 타이터스는 루시우스에게 고트족과 결탁하여 로마를 공격하게 하고, 자신은 타모라의 아들 둘을 잡아 죽인다.
한편 에런은 타모라가 낳은 아이의 아버지가 황제가 아닌 자신임을 알고, 일이 발각되기 전에 갓난아기를 데리고 도망친다.
로마와 고트족의 강화 회의에서 사투르니누스의 조언에 따라 강간을 당했다는 이유로 타이터스는 라비니아를 죽이고, 타모라에게는 아들들의 인육 파이를 먹인 후 찔러 죽인다. 타이터스는 사투르니누스에게 살해당하고, 사투르니누스는 루시우스에게 살해당한다. 새로운 로마 황제로 추대된 루시우스는 고트족에게 붙잡힌 에런을 생매장형에 처한다.
4. 작품 분석 및 비평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의 저작자 문제는 이 희곡 비평사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는 주제이다. 엘리자베스 시대 희곡에서는 작가 이름을 명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세 개의 4절판 《타이터스》 어디에도 작가 이름은 나와 있지 않다. 그러나 프랜시스 메레스는 1598년 『팔라디스 타미아』에서 이 희곡을 셰익스피어의 비극 중 하나로 언급했고, 존 헤밍스와 헨리 콘델은 1623년 『제1 폴리오』에 이 작품을 포함했다.[71]
1678년 에드워드 레이븐스크로프트가 처음으로 셰익스피어의 저작에 의문을 제기한 이후, 18세기에 걸쳐 니콜라스 로, 알렉산더 포프, 루이스 테오발드, 새뮤얼 존슨 등 저명한 셰익스피어 학자들이 뒤를 따랐다.[71] 1794년 토머스 퍼시는 『고대 영어 시집』 서문에서 셰익스피어가 이 희곡을 썼다는 혐의로부터 옹호되었다고 언급했을 정도였다.[72]
그러나 에드워드 캐펠(1768), 찰스 나이트(1843) 등 18세기와 19세기에도 셰익스피어 저작설을 지지하는 학자들이 있었다.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 헤르만 울리치 등 독일 학자들도 셰익스피어 저작설을 지지했다.[73]
20세기에는 셰익스피어 단독 저작설보다는 공동 저작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1905년 존 매키넌 로버트슨은 조지 필, 로버트 그린, 키드, 말로우의 공동 저작이라고 주장했다.[74] 1919년 T. M. 패럿은 필이 1막, 2.1장, 4.1장을 썼다고 보았고,[75] 1931년 필립 팀버레이크가 이를 뒷받침했다.[76]
E. K. 챔버스는 로버트슨의 방법론에 결함이 있다고 지적했으며,[77] 1933년 아서 M. 샘플리는 패럿의 기법을 사용해 필의 공동 저작설을 반박했다.[78] 헤어워드 심블비 프라이스도 1943년에 셰익스피어 단독 저작설을 주장했다.[79]
1948년 존 도버 윌슨은 셰익스피어가 필의 희곡을 편집했다고 주장하면서, 이후 많은 학자들이 셰익스피어와 필의 협력 가능성을 제기했다.[80] 수사법 분포(1957, R. F. 힐),[81] 희귀 단어 검사(1979, 맥도날드 잭슨),[82] 강세 분석(1987, 마리나 타를린스카야),[83] 기능어 분석(1996, 잭슨)[84]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필이 1막, 2.1장, 4.1장을 썼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유진 M. 웨이트(1985, 옥스퍼드 셰익스피어), 앨런 휴즈(1994, 캠브리지 셰익스피어), 조나단 베이트(1995, 아덴 셰익스피어) 등 셰익스피어 단독 저작설을 지지하는 학자들도 꾸준히 존재했다. 다만 베이트는 2002년 브라이언 비커스의 ''셰익스피어, 공동 저작자''를 지지하며 필의 저작 부분을 재확인했다.[85]
비커스는 수사법 분포, 다음절 단어 분석, 두운 분석, 호격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필이 1막, 2.1장, 4.1장을 썼다고 주장했다.[86] 비커스의 연구 결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었지만,[87] 2016년 ''뉴 옥스퍼드 셰익스피어''는 4.1장이 셰익스피어 작품이며, 3.2장(파리 장면)은 토마스 미들턴이 추가한 것이라고 밝혔다.[88] [89] 그러나 대런 프리버리-존스는 4.1장에 대한 필의 저작 증거를 제시하고, 파리 장면이 셰익스피어와 필의 장면 병합 과정에서 생략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의를 제기했다.[90]
이 작품은 명예, 복수, 정의, 폭력, 광기,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특히 명예, 미덕, 고귀함과 같은 단어와 주제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폭력과 관련된 은유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91] 라비니아가 강간당한 후 마르쿠스의 연설(2.4.11–57)은 언어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예시인데, 아름다운 이미지와 끔찍한 현실의 불일치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주제적 관련성과 형언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려는 시도로 해석되기도 한다.
4. 1. 비평적 평가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 가장 잔혹하고 폭력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59]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재평가되기 시작했다.[59]1687년, 에드워드 레이븐스크로프트는 자신의 연극 각색작 서문에서 원작에 대해 "구조라기보다는 쓰레기 더미처럼 보인다"라고 비판했다.[60] 1765년, 새뮤얼 존슨은 "여기 제시된 잔혹한 광경과 일반적인 학살은 어떤 관객에게도 용납될 수 있다고 상상하기 어렵다"라며 작품을 무대에 올리는 것조차 불가능하다고 의문을 제기했다.[61] 1811년,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은 "잔혹함과 끔찍한 행위의 축적으로 비극의 그릇된 생각을 따라 구성되어 끔찍한 것으로 변질되었지만, 깊은 인상을 남기지 못했다"라고 평가했다.[62]
1927년, T. S. 엘리엇은 이 작품을 "역대 최악의 멍청하고 영감 없는 연극 중 하나"라고 폄하하며, 셰익스피어가 전혀 관여했다는 것을 믿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63] 1948년, 존 도버 윌슨은 "마치 엘리자베스 시대의 처형대에서 피가 묻은 시체로 가득 찬 고장 난 마차처럼 덜컹거리며 달려가는 것 같다"라고 비유하며, 셰익스피어가 썼다는 믿음 때문에 기억되는 것이지 작품 자체의 자질 때문은 아니라고 말했다.[64]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작품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해럴드 블룸은 1998년 자신의 저서에서 이 작품이 "패러디"를 의도한 것이며,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나쁘다고 주장했다. 그는 관객들의 고르지 못한 반응은 셰익스피어의 의도를 오해한 연출가들의 결과이며, 유일하게 적합한 연출가는 멜 브룩스라고 주장했다.[65]
얀 코트는 작품의 명백한 과도한 폭력에 대해,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를 보면서 셰익스피어의 천재성의 본질을 이해하게 된다고 주장하며, 셰익스피어가 열정에 내면의 인식을 부여하고 잔혹함을 단순한 신체적인 것을 넘어선 도덕적인 지옥으로 표현했다고 평가했다.[66]
A. L. 로즈는 1987년 이 작품을 편집하면서, 20세기에 들어 이 작품의 운명이 바뀌기 시작한 이유에 대해 문명화된 빅토리아 시대에는 이 작품을 믿을 수 없었기 때문에 공연할 수 없었지만, 수용소의 끔찍한 야만성과 저항 운동이 고문과 신체 훼손, 그리고 사람의 살을 먹는 이 작품과 병행되는 우리 시대의 공포는, 그럴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멈추게 했다고 추측한다.[67]
연출가 줄리 테이머는 1994년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공연을 연출하고 1999년에 영화 버전을 연출하면서, 이 작품이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 "현대 시대에 가장 적합한" 작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매료되었다고 말한다.[68] 그녀는 우리가 역사상 가장 폭력적인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이 작품이 빅토리아 시대보다 우리에게 더 많은 관련성을 갖게 되었다고 느낀다.[69]
조나단 포먼은 테이머의 영화를 ''뉴욕 포스트''에 리뷰하면서 "이것은 우리 시대의 셰익스피어 작품이며, 르완다와 보스니아 시대를 직접적으로 말하는 예술 작품이다"라고 평가하며 동의했다.[70]
4. 2. 저작권 논쟁
존 단터가 1594년 2월 6일 스테이션너스 레지스터에 등록한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의 불만"이라는 발라드는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의 고귀한 로마 역사"라는 책과 함께 언급되며, "그에게도, 그 발라드"가 바로 뒤따른다.[24] 발라드의 가장 오래된 사본은 리처드 존슨의 ''왕자들의 기쁨과 섬세한 즐거움의 황금 화환''(1620)에 있지만, 작곡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다.[25]산문은 채프북 형태로 1736~1764년 사이에 클루어 다이시가 처음 출판했으며, 제목은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의 역사, 유명한 로마 장군''이었다 (발라드도 포함).[26] 그러나 산문은 이보다 훨씬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1602년 4월 19일, 출판업자 토마스 밀링턴은 1594년에 단터가 등록한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의 고귀한 로마 역사"의 저작권 지분을 토마스 파비어에게 판매했다. 이는 희곡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1611년 에드워드 앨드가 에드워드 화이트를 위해 인쇄한 다음 판본은 파비어가 9년 동안 저작권을 소유했음에도 출판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조셉 퀸시 아담스 2세는 1594년 단터의 항목이 산문 버전을 언급하며, 이후의 저작권 이전도 산문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W. W. 그레그는 1600년 단터의 사망으로 희곡 저작권이 소멸되었으므로, 1602년 이전은 산문을 지칭한다고 보았다. 두 학자 모두 산문이 1594년 이전에 존재했음을 시사한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희곡, 발라드, 산문의 작성 순서와 출처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다. 전통적으로 산문이 원본이고 희곡과 발라드가 파생되었다고 여겨졌으나 (아담스,[27] J. 도버 윌슨,[28] 제프리 불로[29]), R.M. 사젠트는 산문과 발라드가 모두 희곡의 출처라고 주장했다.[30]
마르코 민코프는 희곡이 먼저 나왔고 발라드와 산문의 출처라고 주장했으며,[31] G.H. 메츠는 산문-희곡-발라드 순서를 재확인했다.[32] G.K. 헌터는 희곡이 산문의 출처이고 둘 다 발라드의 출처라고 보았다.[33] 옥스퍼드 셰익스피어의 1984년 판에서 E.M. 웨이트는 헌터의 이론을 거부하고 산문-희곡-발라드 순서를 지지했다.[34]
반면, 조나단 베이트는 아덴 셰익스피어 1995년 판에서 민코프의 희곡-발라드-산문 이론을 선호했다.[35] 소니아 마사이의 2001년 ''펭귄 셰익스피어'' 판 서문에서 자크 베르토드는 웨이트와 동의하며 산문-희곡-발라드 순서를 지지했다.[36] 뉴 케임브리지 셰익스피어 2006년 판에서 앨런 휴즈는 산문-희곡-발라드 가설을 주장하지만, 발라드의 출처는 희곡이 아닌 산문이라고 제안했다.[37]
1594년 초판본(Q1)은 제임스 로버츠가 1600년에 재인쇄했다. 1602년 밀링턴은 저작권을 파비에에게 매각했으나, 다음 판본은 1611년에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의 가장 슬픈 비극''으로 다시 화이트를 위해 출판되었다.
Q1은 '좋은 텍스트'로 간주되어 현대 판본의 기초가 된다. Q2는 Q1의 손상된 사본을 기반으로 하며, 누락된 줄이 많다. Q2는 1904년 Q1 사본이 발견될 때까지 통제 텍스트였다.[54] Q3는 Q2의 악화된 판본이다.
1623년 제1 폴리오(F1) 텍스트는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의 비극''이라는 제목으로, 주로 Q3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지만, 4분 판본에 없는 3막 2장('파리 죽이기 장면')을 포함한다. Q3 외에 주석 달린 프롬프터 사본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56] 따라서 오늘날의 텍스트는 Q1과 F1 자료를 조합한 것이다.

'피첨 드로잉' 또는 '롱릿 원고'는 현존하는 유일한 동시대 셰익스피어 삽화로, 타이터스 공연을 묘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진 M. 웨이트는 이 삽화가 엘리자베스 시대 연극의 시각적 영향에 대한 생생한 인상을 준다고 주장했다.[57]
그러나 이 문서는 증거로 인정받기 어려우며, 연대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그림에 재현된 텍스트가 여러 판본에서 차용되고 자체 판독을 창작한다는 점이 문제를 복잡하게 만든다. 셰익스피어 위조범 존 페인 콜리어와의 연관성은 문서의 진정성을 훼손했으며, 일부 학자들은 다른 연극을 묘사한다고 보기도 한다.[58]
이 희곡의 비평사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는 주제는 저작자 문제이다. 세 개의 4절판에는 작가 이름이 없지만, 프랜시스 메레스는 1598년 ''팔라디스 타미아''에서 셰익스피어의 비극 중 하나로 언급했다. 존 헤밍스와 헨리 콘델도 1623년 ''제1 폴리오''에 포함시켰다. 저작자 문제는 작품의 질이 떨어진다는 인식과 동시대 극작가 작품과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춘다.
셰익스피어의 저작에 처음 의문을 제기한 사람은 1678년 에드워드 레이븐스크로프트이며, 18세기에 니콜라스 로, 알렉산더 포프, 루이스 테오발드, 새뮤얼 존슨 등 많은 학자들이 뒤따랐다.[71] 1794년 토머스 퍼시는 ''고대 영어 시집'' 서문에서 셰익스피어가 이 희곡을 썼다는 혐의로부터 옹호되었다고 썼다.[72]
그러나 18세기와 19세기에도 셰익스피어 저작설을 지지하는 학자들이 있었다. 에드워드 캐펠(1768)과 찰스 나이트(1843)가 그 예이다.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과 헤르만 울리치 등 독일 학자들도 셰익스피어 저작설을 지지했다.[73]
20세기 비평은 공동 저작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J. M. 로버트슨은 1905년에 조지 필, 로버트 그린, 키드, 말로우의 공동 저작이라고 주장했다.[74] 1919년 T. M. 패럿은 필이 1막, 2.1장, 4.1장을 썼다고 결론 내렸고,[75] 1931년 필립 팀버레이크가 이를 뒷받침했다.[76]
E. K. 챔버스는 로버트슨의 방법론에 결함이 있다고 지적했으며,[77] 아서 M. 샘플리는 1933년에 패럿의 기법을 사용해 필의 공동 저작설을 반박했다.[78] 헤어워드 심블비 프라이스도 1943년에 셰익스피어 단독 저작설을 주장했다.[79]
1948년 존 도버 윌슨은 셰익스피어가 필의 희곡을 편집했다고 주장했다.[80] 1957년 R. F. 힐은 수사법 분포를 분석하여 필이 1막, 2.1장, 4.1장을 썼다고 결론 내렸다.[81] 1979년 맥도날드 잭슨은 희귀 단어 검사를 통해 같은 결론에 도달했고,[82] 1987년 마리나 타를린스카야는 강세 분석을 통해 같은 결론을 내렸다.[83] 1996년 잭슨은 기능어 분석을 통해 필의 저작 부분을 확인했다.[84]
그러나 셰익스피어 단독 저작설을 지지하는 학자들도 있었다. 유진 M. 웨이트(1985, 옥스퍼드 셰익스피어), 앨런 휴즈(1994, 캠브리지 셰익스피어), 조나단 베이트(1995, 아덴 셰익스피어)가 그 예이다. 베이트는 2002년에 브라이언 비커스의 ''셰익스피어, 공동 저작자''를 지지하며 필의 저작 부분을 재확인했다.[85]
비커스는 수사법 분포, 다음절 단어 분석, 두운 분석, 호격 분석을 통해 필이 1막, 2.1장, 4.1장을 썼다고 주장했다.[86] 비커스의 연구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87] 2016년 ''뉴 옥스퍼드 셰익스피어''는 4.1장이 셰익스피어 작품이며, 3.2장(파리 장면)은 토마스 미들턴의 추가라고 밝혔다.[88] [89] 대런 프리버리-존스는 4.1장에 대한 필의 저작 증거를 제시하고, 파리 장면이 셰익스피어와 필의 장면 병합 시 생략되었을 가능성을 주장한다.[90]
4. 3. 언어 및 주제
이 작품은 명예, 복수, 정의, 폭력, 광기,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반복되는 단어와 주제, 폭력과 관련된 은유, 그리고 라비니아가 강간당한 후 마르쿠스의 연설 등이 주요한 언어적 특징으로 꼽힌다.[93] 마르쿠스의 연설은 아름다운 이미지와 끔찍한 현실의 불일치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주제적 관련성과 형언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려는 시도로 해석되기도 한다.[94][95][96][97][98][99][100][101][102]반복은 이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이다. 여러 단어와 주제가 반복되어 등장인물과 장면을 연결하고 대조하며, 특정 테마를 부각한다. 가장 두드러지게 반복되는 모티프는 명예, 미덕, 고귀함인데, 이들은 모두 연극 전체, 특히 첫 번째 막에서 여러 번 언급된다. 예를 들어, 첫 대사에서 사투르니누스는 "고귀한 귀족들이여, 나의 권리의 후원자여" (l.1)라고 말하고, 바시아누스는 "불명예가/황제의 자리에, 미덕에 바쳐진/정의, 자제력, 고귀함에 다가오도록 놔두지 마세요" (ll.13–16)라고 말한다. H. B. 찰튼은 첫 번째 막에 대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덕적 통화의 기준은 명예"라고 주장한다.[91]
폭력과 관련된 은유도 중요한 모티프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3막 1장에서 타이터스는 아론에게 아들의 생명을 구할 것이라고 믿고 손을 자르라고 부탁하면서 "나에게 손을 빌려주세요, 그러면 내가 당신에게 내 손을 줄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라비니아가 강간당한 후 마르쿠스의 연설(2.4.11–57)은 언어적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연설은 아름다운 이미지와 끔찍한 현실의 불일치로 인해 많은 비평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이 연설의 주제적 관련성을 설명하려는 몇 가지 이론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니콜라스 브룩은 이것이 "범죄에 대한 합창 해설의 자리에 서서, 잘린 여성의 상징을 만듦으로써 연극에 대한 그 중요성을 확립한다"고 주장한다.[96] 앤서니 브라이언 테일러는 마르쿠스가 횡설수설한다고 주장하는 반면,[98] 조나단 베이트는 그것이 형언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려고 시도한다고 주장한다.[99]
5. 각색 및 공연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의 초기 공연 기록은 1594년 1월 24일, 필립 헨슬로가 로즈 극장에서 서섹스 남자의 공연을 기록한 것이다. 이 공연은 3파운드 8실링을 벌었고, 이후 두 번의 추가 공연은 각각 2파운드를 벌어 그 시즌 가장 수익성이 높은 연극이 되었다.[109][110] 1594년 6월에는 제독 남작과 체임벌린 경의 남자들이 연합하여 뉴잉턴 버츠 극장에서 두 차례 더 공연했다.[109] 1596년에는 런던 배우들이 존 해링턴 경의 저택에서 크리스마스 축제 기간 동안 공연했다.[111]
일부 학자들은 1592년 4월 11일에 헨슬로가 기록한 '타이터스와 베스파시안'이라는 연극이 셰익스피어의 연극과 동일하다고 주장하지만,[112]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연극이 베스파시안과 티투스라는 두 명의 실존 로마 황제에 관한 다른 연극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113]
이 연극은 당시 인기가 있었지만, 이후 수년 동안 다른 공연 기록은 없다. 1668년 1월, 체임벌린 경은 킹스 컴퍼니가 소유한 21개의 연극 중 하나로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를 언급하며, 이전에 블랙프라이어스 극장에서 공연되었다고 기록했다.[115] 그러나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까지는 각색된 작품들이 주로 공연되었고, 20세기 초까지 셰익스피어 원작의 확실한 공연 기록은 없다.
1923년, 로버트 앳킨스가 올드 빅 극장에서 연출한 프로덕션을 통해 300년 만에 잉글랜드 무대에 복귀했다. 이 프로덕션은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흥행에는 성공했다.[116][117] 미국에서는 1924년 예일 대학교에서 셰익스피어 원작 공연이 처음으로 이루어졌다.[118][119]
1955년 피터 브룩이 연출한 로열 셰익스피어 극장 프로덕션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많은 비평가들이 브룩의 수정이 셰익스피어의 대본을 개선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로렌스 올리비에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120][121] 이 프로덕션은 폭력을 억제한 것으로도 유명하다.[122]
브룩 프로덕션의 성공 이후, 1967년 더글라스 실은 볼티모어의 센터 스테이지에서 매우 사실적인 연출을 선보였다. 실의 프로덕션은 연극적 리얼리즘을 사용하여 현대와 '타이터스' 시대를 비교하고, 폭력과 복수의 보편성에 대해 논평했다.[123] 같은 해 제럴드 프리드먼은 델라코르테 극장에서 상징주의를 활용한 공연을 연출했다.[124][125][126]
1972년 트레버 넌은 로열 셰익스피어 극장에서 로마 극 4부작의 일부로 이 연극을 연출하면서 엘리자베스 시대 사회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질문과 현대와의 연결을 시도했다.[127][128] 1978년 캐나다 스트랫퍼드 셰익스피어 페스티벌에서는 브라이언 베드포드가 연출한 프로덕션이 공연되었는데, 폭력 묘사의 절제에 대한 평가가 엇갈렸다.[129][130]
1987년 데보라 워너가 연출한 RSC 프로덕션은 편집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며, 1980년대 최고의 셰익스피어 연극 프로덕션 중 하나로 꼽힌다.[131][132][133] 1988년 마크 러커는 셰익스피어 산타 크루즈에서 현실적인 프로덕션을 연출했다.[134]
1994년 줄리 테이머는 뉴 시티 극장에서 현대적인 설정을 도입하여 연극을 연출했다.[135] 1995년 그레고리 도란은 로열 내셔널 극장과 요하네스버그의 마켓 극장에서 공연을 연출하면서 현대 아프리카 맥락을 배경으로 설정했다.[136]
2003년 빌 알렉산더는 RSC에서 이 연극을 상연하면서 1막을 대폭 수정했다.[137] 2006년에는 셰익스피어 글로브에서 루시 베일리가 연출한 현실적인 프로덕션과[138][139][140] 로열 셰익스피어 극장에서 유키오 니나가와가 연출한 양식화된 프로덕션이[141][142][143] 거의 동시에 상연되었다. 두 프로덕션은 라비니아의 묘사 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144][145][146][147][148][149][150][151][152][153]
2007년 게일 에드워즈는 셰익스피어 극장 컴퍼니에서 단순한 연출을 선보였다.[154][155] 2011년 마이클 섹스턴은 퍼블릭 극장에서 현대 군사 의상을 입은 프로덕션을 연출했다.[156] 2013년 마이클 펜티만은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에서 유혈과 폭력을 강조하며 연극을 연출했다.[157] 같은 해 허드슨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역사적인 저지 시티와 하시머스 묘지에서 특별 할로윈 축제의 일환으로 프로덕션을 상연했다.[158]
영국과 미국 외에도, 1986년 중국에서 쉬핑 쉬가 연출한 프로덕션은 문화 대혁명 및 홍위병과 정치적 평행선을 그렸다.
5. 1. 연극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다양한 각색 작품이 만들어졌다. 에드워드 레이븐스크로프트의 각색(1678)은 셰익스피어의 원작을 대폭 수정하고, 아론의 역할을 확대했다.[162][163][167] 이라 알드리지와 C. A. 서머셋의 각색(1850)은 아론을 영웅적인 인물로 묘사하고, 라비니아의 강간과 신체 훼손을 삭제했다.[169][170][171] 20세기 이후에는 셰익스피어의 원작에 충실한 공연과 현대적인 해석을 시도하는 공연이 모두 이루어지고 있다.5. 2. 영화 및 TV
- 타이터스 (1999년, 줄리 테이머 감독, 앤서니 홉킨스 주연): 고대와 현대를 혼합한 독특한 연출로 주목받았다.[68]
- BBC 텔레비전 셰익스피어 (1985): 원작에 충실한 각색으로 호평을 받았다.[202]
5. 3. 라디오
이 연극은 라디오로 상연된 경우가 매우 드물다.[206] 1923년, BBC 라디오에서 카디프 스테이션 레퍼토리 컴퍼니가 공연한 발췌본이 ''셰익스피어 나이트''라는 제목으로 셰익스피어 연극 프로그램 시리즈의 두 번째 에피소드로 방송되었다. 1953년, BBC 제3 프로그램은 J. C. 트루인이 라디오용으로 각색하고, 발리올 할로웨이가 타이터스 역, 소니아 드레스달이 타모라 역, 조지 헤이즈가 아론 역, 자네트 트레가선이 라비니아 역을 맡은 130분짜리 연극을 방송했다. 1973년, BBC 라디오 3는 마틴 젠킨스가 연출하고 마이클 올드리지가 타이터스 역, 바바라 제포드가 타모라 역, 줄리안 글로버가 아론 역, 프랜시스 지터가 라비니아 역을 맡은 각색본을 방송했다. 1986년, 오스트리아 라디오 채널 외스터라이히 1은 쿠르트 클링거가 각색하고 로무알드 펙니가 타이터스 역, 마리온 데글러가 타모라 역, 볼프강 뵈크가 아론 역, 엘리자베트 아우구스틴이 라비니아 역을 맡은 각색본을 상연했다.6. 한국어 번역
참조
[1]
서적
The Privileged Playgoers of Shakespeare's London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1
[2]
문서
2001
[3]
문서
Quarto of ''Titus Andronicus''
[4]
논문
1972
[5]
논문
1982
[6]
논문
1995
[7]
논문
1957
[8]
문서
1977
[9]
문서
1984
[10]
문서
1984
[11]
문서
1953
[12]
문서
1984
[13]
문서
1997
[14]
문서
1984
[15]
문서
1995
[16]
문서
1964
[17]
서적
Astraea: The Imperial Theme in the Sixteenth Century
Routledge & Kegan Paul
1975
[18]
문서
1995
[19]
서적
The Early Shakespeare
Huntington Library
1967
[20]
문서
1984
[21]
문서
1983
[22]
문서
1984
[23]
문서
1943
[24]
웹사이트
The prose history of ''Titus Andronicus''
http://www.edwardoxe[...]
[25]
웹사이트
Ballad
http://ebba.english.[...]
University of California
[26]
서적
A Bibliography of the English Printed Drama to the Restoration
Bibliographic Society
[27]
논문
1936
[28]
논문
1948
[29]
논문
1966
[30]
논문
1971
[31]
논문
1971
[32]
논문
1975
[33]
논문
1983
[34]
논문
1984
[35]
논문
1995
[36]
간행물
Massai
2001
[37]
간행물
Hughes
2006
[38]
간행물
Bate
1995
[39]
웹사이트
Titus Andronicus, 1600, f.1r
https://images.is.ed[...]
2023-01-31
[40]
간행물
Maxwell
1953
[41]
서적
Shakespeare's Impact on his Contemporaries
Macmillan
1982
[42]
간행물
Hughes
2006
[43]
서적
Sapho and Phao/Campaspe (play)
Bate
1995
[44]
간행물
Waith/Massai
1984/2001
[45]
간행물
Waith
1984
[46]
간행물
Bate/Hughes
1995/2006
[47]
간행물
Massai
2001
[48]
간행물
Bate
1995
[49]
서적
William Shakespeare: A Textual Compan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50]
간행물
Foakes and Rickert
1961
[51]
서적
William Shakespeare: A Textual Compan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52]
간행물
Henslowe's "ne"
1991
[53]
간행물
Dover Wilson
1948
[54]
서적
Shakespeare in Print: A History and Chronology of Shakespeare Publis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55]
서적
Infinite Variety: Exploring the Folger Shakespeare Librar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2
[56]
간행물
Adams
1936
[57]
간행물
Waith
1984
[58]
간행물
Rereading the Peacham Drawing
1999
[59]
간행물
Dover Wilson
1948
[60]
간행물
Bate
1995
[61]
간행물
Bate
1995
[62]
서적
Lectures on Dramatic Art and Literature
George Bell & Sons
1879
[63]
서적
Seneca in Elizabethan Translation
Harcourt, Brace & World
1950
[64]
간행물
Dover Wilson
1948
[65]
간행물
Bloom
1998
[66]
간행물
Kott
1964
[67]
서적
Titus Andronicus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87
[68]
기타
Titus DVD commentary
20th Century Fox Home Entertainment
2000
[69]
웹사이트
A conversation with Julie Taymor
http://www.charliero[...]
Charlie Rose.com
2000-01-19
[70]
뉴스
Lion Queen Tames Titus
1999-12-30
[71]
문서
Vickers (2002: 152n11)
[72]
문서
Quoted in Waith (1984: 12)
[73]
문서
See Vickers (2002: 150–156) for a summary of the pre-20th century pro- and anti-Shakespearean arguments.
[74]
문서
Robertson (1905: 479)
[75]
문서
Parrott (1919: 21–27)
[76]
문서
Philip Timberlake, ''The Feminine Ending in English Blank Verse: A Study of its Use by Early Writers in the Measure and its Development in the Drama up to the Year 1595'' (Wisconsin: Banta, 1931), 114–119
[77]
문서
Vickers (2002: 137)
[78]
문서
Sampley (1936: 693)
[79]
문서
Price (1943: 55–65)
[80]
문서
Dover Wilson (1948: xxxvi–xxxvii)
[81]
문서
Hill (1957: 60–68)
[82]
문서
''Studies in Attribution: Middleton and Shakespeare'' (Salzburg: Salzburg University Press, 1979), 147–153
[83]
문서
''Shakespeare's Verse: Iambic Pentameter and the Poet's Idiosyncrasies'' (New York: P. Lang, 1987), 121–124
[84]
문서
Jackson (1996: 138–145)
[85]
문서
Chernaik (2004: 1030)
[86]
문서
Vickers (2002: 219–239)
[87]
문서
Carroll (2004)
[88]
문서
Pruitt (2017)
[89]
문서
Taylor and Duhaime (2017)
[90]
서적
Shakespeare's Borrowed Feathers: How Early Modern Playwrights Shaped the World's Greatest Wri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4
[91]
문서
H. B. Charlton, ''Shakespearean Traged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9), 105
[92]
문서
Waith (1984: 84n23)
[93]
간행물
'Lend Me Thy Hand': Metaphor and Mayhem in Titus Andronicus
1989-Autumn
[94]
문서
Dover Wilson (1948: liii–liv)
[95]
문서
Waith (1984: 61)
[96]
문서
Nicholas Brooke, ''Shakespeare's Early Tragedies'' (New York: Barnes & Noble, 1968), 306
[97]
웹사이트
Cast Interviews
http://www.rsc.org.u[...]
Royal Shakespeare Company
2012-01-16
[98]
문서
Taylor (1997: 149)
[99]
문서
Bate (1995: 111)
[100]
문서
Vickers (2002: 240)
[101]
문서
Massai (2001: xxxi–xxxvi)
[102]
문서
Palmer (1972: 321–322)
[103]
문서
Shakespeare Survey, 41 (1988)
[104]
문서
Dessen (1988: 60)
[105]
문서
Massai (2001: xxxi)
[106]
서적
Reese
[107]
서적
Kendall
[108]
서적
Sacks
[109]
서적
Waith
[110]
서적
Bate and Hughes
[111]
서적
Ungerer
[112]
서적
Halliday
[113]
서적
Waith
[114]
서적
Dover Wilson
[115]
서적
Hughes
[116]
서적
Dessen
[117]
서적
Old Vic Saga
Winchester
[118]
서적
Dessen
[119]
서적
Waith
[120]
서적
Dessen
[121]
서적
Dessen
[122]
서적
Shakespeare on the English Stage, 1900–1964
Barry Rocklith
[123]
서적
Dessen
[124]
서적
Dessen
[125]
뉴스
New York Times
1967-08-10
[126]
서적
Dessen
[127]
서적
Massai
[128]
서적
Dessen
[129]
서적
Dessen
[130]
서적
Hughes
[131]
서적
Bate
[132]
서적
Dessen
[133]
서적
Hughes
[134]
서적
Dessen
[135]
간행물
From Stage to Screen
2000-02
[136]
서적
Hughes
[137]
서적
Hughes
[138]
뉴스
Death, mutilation – and not a drop of blood
https://www.telegrap[...]
2006-06-10
[139]
웹사이트
Titus Andronicus (2006)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2012-11-21
[140]
웹사이트
Titus Andronicus Review
http://www.britishth[...]
British Theatre Guide
2012-11-21
[141]
웹사이트
Tongueless in Stratford
https://www.telegrap[...]
2012-11-21
[142]
웹사이트
Shakespeare in War, More Timely Than Ever
https://www.nytimes.[...]
2012-11-21
[143]
웹사이트
"''Titus Andronicus'' Review"
http://www.britishth[...]
British Theatre Guide
2012-11-21
[144]
뉴스
Titus Andronicus, Stratford-upon-Avon
http://www.ft.com/in[...]
2013-10-26
[145]
간행물
"''Titus Andronicus'', directed by Lucy Bailey, The Globe, London, 31 May & 11 July 2006"
2006
[146]
뉴스
The horror endures
https://www.telegrap[...]
2013-10-26
[147]
뉴스
Titus Andronicus: Shakespeare's Globe, London
https://www.theguard[...]
2013-10-26
[148]
뉴스
Review of ''Titus Andronicus''
http://entertainment[...]
2013-10-26
[149]
뉴스
Review of Yukio Ninagawa's ''Titus Andronicus''
https://www.thetimes[...]
2013-10-26
[150]
뉴스
Titus Andronicus: Royal Shakespeare theatre, Stratford-upon-Avon
https://www.theguard[...]
2013-10-26
[151]
간행물
"''Titus Andronicus'', directed by Yukio Ninagawa for The Ninagawa Company, Royal Shakespeare Theatre, 21 June 2006"
2007
[152]
뉴스
Review of Yukio Ninagawa's ''Titus Andronicus''
2006-06-22
[153]
간행물
"Mythological reconfigurations on the contemporary stage: Giving a New Voice to Philomela in ''Titus Andronicus''"
2013
[154]
웹사이트
"''Titus Andronicus'' (2007 – Shakespeare Theatre Company)"
http://internetshake[...]
Shakespeare Internet Editions
2012-11-21
[155]
웹사이트
Serving up Evil
http://www.metroweek[...]
2012-11-21
[156]
웹사이트
"''Titus Andronicus'' has more than gore at the Public"
https://web.archive.[...]
2012-11-21
[157]
웹사이트
"RSC's ''Titus Andronicus'' carries heavy warning as production ups the blood-squirting gore Tarantino-style"
https://www.independ[...]
2013-06-08
[158]
뉴스
Fear Blood Soaked Titus
http://www.nj.com/jj[...]
2014-08-18
[159]
문서
All information taken from Hughes (2006: 47–50). For more information on the Stein and Mesguich productions see Dominique Goy-Blanquet's "Titus resartus" in ''Foreign Shakespeare: Contemporary Performance'', edited by Dennis Kenned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6–76.
[160]
문서
See Dover Wilson (1948: xl–xli), Waith (1984: 7) and Bate (1995: 44–48) for more information on ''Tito Andronico''.
[161]
문서
Bate (1995: 47)
[162]
문서
Dover Wilson (1948: lxviii)
[163]
문서
Waith (1984: 45)
[164]
문서
Hughes (2006: 25)
[165]
문서
Hughes (2006: 26)
[166]
문서
Halliday (1964: 399, 403, 497)
[167]
문서
Detailed overviews of the various changes made by Ravenscroft can be found in Dover Wilson (1948: lxvii–lxviii), Dessen (1989: 7–11), Bate (1995: 48–54) and Hughes (2006: 21–24)
[168]
문서
Waith (1984: 87); Dessen (1989: 11); Barnet (2005: 154)
[169]
문서
Dessen (1989: 11–12) and Hughes (2006: 29)
[170]
문서
Waith (1984: 49)
[171]
문서
From ''The Era'', 26 April 1857; quoted in Barnet (2005: 155)
[172]
문서
Barnet (2005: 155)
[173]
문서
Barnet (2005: 157)
[174]
문서
All information taken from Lukas Erne, "Lamentable tragedy or black comedy?: Frederick Dürrenmatt's adaptation of ''Titus Andronicus''", in Sonia Massai (editor), ''World Wide Shakespeare: Local Appropriations in Film and Performance'' (New York: Routledge, 2005), 88–94.
[175]
문서
Waith (1984: 54)
[176]
간행물
"''Anatomie Titus Fall of Rome'' at the Deutsches Theater"
Western European Stages
2008
[177]
간행물
Review
Theatre Journal
2006-05
[178]
간행물
"Violence and Melancholy in Shakespeare's ''Titus Andronicus'', Botho Strauss' ''Rape'' and Sarah Kane's ''Blasted''"
Loxias
2010-12
[179]
웹사이트
"'Anatomy Titus: Fall of Rome' Review"
http://theatrenotes.[...]
Theatre Notes
2008-11-29
[180]
웹사이트
"'Anatomy Titus: Fall of Rome' Review"
http://www.australia[...]
Australian Stage
2008-10-13
[181]
서적
"Tang Shu-wing's titus and the acting of viol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82]
뉴스
Titus Andronicus – review
https://www.theguard[...]
2012-05-10
[183]
웹사이트
"Tang Shu-wing's Titus Andronicus 2.0 and a Poetic Minimalism of Violence"
http://globalshakesp[...]
MIT Global Shakespeares
2013-01-23
[184]
웹사이트
Interpreting Her Martyr'd Signs
http://planetconnect[...]
For Love and Duty Players
2014-05-18
[185]
웹사이트
A Sequel to Titus Andronicus
http://www.playbill.[...]
[186]
문서
Hughes (2006: 47n2)
[187]
웹사이트
Bunport Theater Review Archive
http://www.buntport.[...]
Bunport Theatre
2012-03-21
[188]
웹사이트
"'Tragedy! A Musical Comedy' Review"
http://www.nytheatre[...]
New York Theatre
2007-08-21
[189]
웹사이트
"'Tragedy! A Musical Comedy' Review"
http://www.dogstreet[...]
The DoG Street Journal
2007-04-06
[190]
웹사이트
"'Titus Andronicus' On Screen"
http://www.screenonl[...]
BFI Screenonline
[191]
서적
"The Roman Plays on Screen: An Annotated Filmo-Bibliography"
University of Rouen
2008
[192]
서적
"''Titus Andronicus'': Staging the Mutilated Roman Body"
Hubert & Co.
2010
[193]
서적
"Shakespeare's Violated Bodies: Stage and Screen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94]
뉴스
"A Shakespeare tale whose time has come"
The New York Times
2000-01-02
[195]
문서
Starks (2002: 122)
[196]
서적
"Film Adaptations: What is a Film Adaptation? or, ''Shakespeare du jour''"
Greenwood Press
2006
[197]
AV media
The Hungry
2017-09-07
[198]
서적
"The Roman Plays on Screen: An Annotated Filmo-Bibliography"
Université de Rouen
2008
[199]
서적
"The BBC Shakespeare: Making the Televised Can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1
[200]
서적
"Production Design in the BBC's ''Titus Andronicus''"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988
[201]
문서
Quoted in Barnet (2005: 159)
[202]
서적
"The BBC Shakespeare: Making the Televised Can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1
[203]
문서
Quoted in Dessen (1989: 44)
[204]
서적
"Production Design in the BBC's ''Titus Andronicus''"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988
[205]
서적
"Yon Fart Doth Smell of Elderberries Sweet': ''South Park'' and Shakespeare"
McFarland & Company
2009
[206]
웹사이트
British Universities Film and Video Council
http://bufvc.ac.uk/s[...]
[207]
웹인용
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
http://zmanz.blogi.k[...]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9-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